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Flexbox
- 트랜지스터
- AWS EC2 구현
- CS
- 그래도일단
-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서비스
- 어찌저찌해냄
- 스프링부트 테스트코드
-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2장
- 내가해냄
-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
- 기술면접
- 오늘도
- 개발자기술면접
- jpa
- 스프링부트
- 자바스크립트
-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
- 테스트코드
- 운영체제
Archives
- Today
- Total
개발 공부
도메인이란? 본문
을 알기 전에
IP라는 것부터 살펴 봐야 함.
IP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들이 자기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주소를 뜻한다.
IP는 숫자 투성이라 외우기 어렵기 때문에 따로 부여한 이름을 도메인이라고 한다.
도메인 :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는 컴퓨터, 서버를 식별하기 위한 단위
URL : 서버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것
그리고 도메인은 프로젝트 개발할 때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.
새로 만들거나 개발한 소프트웨어로 개선해야 할 부분 즉 구현해야 하는 특정 비즈니스 영역이다.
참고
https://promdevelop.com/ko/technologies/domain-driven-design/
'코딩 정리 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아이디 중복 체크 여부 기능 만들기 (0) | 2022.06.11 |
---|---|
[Spring Boot] 프로젝트 환경 설정 (0) | 2022.06.09 |
flex box 정리하기 (0) | 2021.12.07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