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테스트코드
- 어찌저찌해냄
-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2장
- 내가해냄
-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서비스
- 운영체제
- jpa
- Flexbox
- 오늘도
-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
- 트랜지스터
- 기술면접
- 자바스크립트
- CS
-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
- 개발자기술면접
- AWS EC2 구현
- 스프링부트
- 그래도일단
- 스프링부트 테스트코드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76)
개발 공부
21./etc/passwd :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목록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아래와 같이 :로 구분된 7덩어리의 구조임root:x:0:0:root:/root:/bin/bash 1 2 3 4 5 6 7필드1 : 사용자명필드2 : 패스워드(/etc/shadow) 파일에 암호화되어 있음필드3 : 사용자 계정 uid필드4 : 사용자 계정 gid필드 5 : 사용자 계정 이름 (정보)필드6 : 사용자 계정 홈 디렉토리필드7 : 사용자 계정 로그인 쉘 22.passwd 명령어 : 패스워드를 변경usemod 명령어 : 사용자를 수정-l 옵션 : --login으로 사용자 ID를 변경-L 옵션 : --lock으로 락을 걸어 사용자의 패스워드에 LOCK을 ..
1.리처드 스톨먼 : Emacs, GCC, GDB 디버거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했으며, GNU 프로젝트 및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설립자리누스 토발즈 : 리눅스 커널과 깃을 최초로 개발한 개발자켄 톰슨 : 유닉스와 플랜 9 운영 체제의 개발을 주도했으며, C언어의 모체가 된 B언어의 개발자데니스 리치 : C와 유닉스의 개발자엔드루 S 타넨바움 :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 미닉스의 저자 2.리다이렉션 : 표준 스트림의 입력과 출력의 방향을 다른 곳으로 바꿈파이프 : 특정 프로세스의 표준 출력을 다른 프로세스의 표준 입력으로 쓰이게 하는 것으로 2개의 프로세스를 연결해 주는 연결 통로라이브러리 : 특정한 코드(함수 혹은 클래스) 포함하고 있는 컴파일된 파일가상콘솔 : 리눅스 운영 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모..
2과목 10개 맞음 레전드 21. 리눅스 보안과 관련된 중요한 기술 및 도구에 대한 문제정답 : 시스템에 생성된 파일들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침입자에 의해서 파일이 변조되었는지를 수시로 검사하려고 할 때 설치해야 할 프로그램 : Tripwire1. PAM : 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역할 : 리눅스 시스템의 인증을 관리하는 모듈.특징 : 다양한 인증 방식을 플러그인 형태로 추가/변경 가능. 시스템에 로그인하거나 특정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인증 과정을 제어./etc/pam.d 디렉토리와 /etc/security /디렉토리 설정 파일을 통해 관리. 2. GnuPG : GNU Privacy Guard역할 : 데이터 암호화와 디지털 서명을 위한 도구특징 : 공..
많이 틀려서 과목별로 나눠야 한다는 웃픈 사실 ^-^ 1. 파일에 대한 문제1) /etc/hosts :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데 사용되는 로컬 네임 서비스 파일. 이 파일은 DNS보다 먼저 참조되며, 특정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로 빠르게 변환하기 위해 사용.2) /etc/sysconfig/network : 리눅스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파일. 시스템 부팅 시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된 기본 설정을 적용하는 역할을 함. 시스템의 네트워크 서비스 동작을 제어,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기본적인 네트워크 설정 관리, 특정 기능 (ex. IPv6, 호스트 이름) 활성화 여부 설정3) /etc/resolv.conf : 이 파일은 DNS 서버의 주소를 설정하는 파일. 4) /e..
* 데이터 모델이란? ➡️ 데이터를 표현할 때 어떤 개념을 사용할지 정의하는 것을 말한다. * 관계형 모델이란? ➡️관계형 모델은 '관계'라는 개념을 사용해서 실제 세계의 데이터를 표현하기로 한 모델인 것이다. 데이터를 표현할 때, 2차원 테이블 형태의 '릴레이션'으로 관계를 표현한다. * RDBMS란? ➡️Relational Data Base 서로 관련된 지점에 대한 접근을 저장 및 제공하는 DB 유형. 데이터를 테이블에 직관적으로 간단하게 나타내는 관계형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. * 데이터 모델링이란? ➡️주어진 개념에서 논리적 데이터 모델을 구성하는 것 (관계 데이터 모델링은 관계라는 개념으로 논리적인 데이터 모델을 구성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.) *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이란? ➡️객체와 관계로 정..